|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8;41(5): 567-570. |
Effects of Effusion on Transient Evoked Otoacoustic Emission in Pediatric Patients Having Otitis Media with Effusion. |
Yong Ju Jang, Sun O Chang, Byung Kwon Moon, Seok Won Park, Min Young Kim |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Cheonan, Korea. yj33@nownuri.nowcom.co.kr 2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
소아삼출성중이염 환자에서 일과성음에 의한 유발이음향방사검사 소견에 미치는 삼출액의 영향 |
장용주1 · 장선오2 · 문병권2 · 박석원2 · 김민영1 |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1;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2; |
|
|
|
주제어:
이음향방사ㆍ중이삼출액. |
ABSTRACT |
BACKGROUND AND OBJECTIVES: Transient evoked otoacoustic emission (TEOAE) has an increasingly signficant role in pediatric otological practice such as screening hearing in newborn babies. To assess the potential applicability of the TEOAE measurements on the sequential monitoring of pediatric patients with middle ear effusion (ME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EE on the TEOAE responses.
MATERIALS AND METHODS: TEOAE responses were recorded from 33 patients (56 ears) before and after ventilation tube insertion.
RESULT: In the 37 cases with MEE, we found that the average band reproducibility below 2 kHz was recovered significantly after the tube placement, although the band reproducibility at 5 kHz was diminished. In the 19 cases without MEE, no significant changes in echo amplitude and band reproducibility were noted in the postoperative TEOAE measurements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measurement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n improvement in echo response and band reproducibility less than 2 kHz in serial TEOAE measurements may indicate the resolution of MEE in children with OME. |
Keywords:
Otoacoustic emissionㆍMiddle ear effusion |
서론
소아삼출성중이염을 치료함에 있어 내과적 치료를 계속할 것인지 환기관삽입술을 시행할지를 결정함에 있어 중이삼출액의 존재여부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전통적으로 중이삼출액의 지속여부는 팀파노메트리, 순음청력검사, 그리고 공기유압식 이경 등을 사용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삼출성중이염을 가진 환아에서 중이삼출액의 존재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로써의 일과성유발이음향방사(TEO AE)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시행되었다.
TEOAE 검사는 영아에 대한 청각선별검사로 유용함이 알려져있다. 이는 영아와 신생아의 와우기능을 측정하는데 있어 비용이 적게들며, 빠르고 쉬운 방법이기 때문이다.1-3) 유소아기에는 삼출성중이염의 빈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영아와 소아에서 TEOAEs를 시행할때 중이삼출액 또는 중이음압의 존재여부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TEOAEs의 시행시 중이삼출액 또는 중이음압의 영향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검사결과의 적절한 해석에 선행되어야 한다.1)4)5) 기존의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중이에 가해진 양압, 중이음압이 2 kHz 이하 저 주파수 영역에서의 TEOAEs의 강도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반면에 고주파수 영역에서는 TEOAEs의 강도는 압력의 변화에 따라 별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6-9) TEOAE 검사시 중이삼출액의 효과를 고려한다면, 중이삼출액이 이음향방사의 수용을 방해하며 정상 방사반응을 소멸시킨다는 가정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TEOAE 반응에 대한 중이삼출액의 영향에 관한 공통된 의견이 부족하다.4)7)10)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TEOAE 반응에 대한 중이삼출액의 효과를 이해하기위해, 연속적인 TEOAEs 기록을 통하여 중이삼출액의 해소 여부를 알 수 있다는 가정을 하였다. 본 연구의 가정에 해답을 얻고자, 본 저자들은 삼출성중이염을 가진 환아에서 수술전 그리고 수술후의 TEOAE 반응을 비교함으로써 TEOAE 반응 소견에 대한 중이삼출액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삼출성중이염의 치료로써 환기관삽입술을 시행한 33명 환아의 56귀를 측정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아의 연령분포는 4세에서 12세 였으며, 평균연령은 6.9세 였다. 수술대상군은 적어도 2개월간의 항생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고막운동성 계측도에서 지속적으로 “B” 또는 “C”형을 보이는 환아중 선택되었다.
검사는 고막절개술 바로 직전에 방음실에서 ILO-88 Otodynamic analyzer(Otodynamic Ltd, Hatfield, Eng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든 검사결과는 quick scan mode를 사용하여 한 사람의 청력기사에 의하여 기록되었다. 검사의 window 설정은 5∼12 msec로 하였다. 자극음은 80 microsec의 rectangular pulse를 사용하였고, 20 msec rate로 주어졌다. 클릭음에 대한 반응은 자동적으로 두 개의 buffer에서 수집되고 260회의 반복된 반응 후에 평균화되었다. 최고 자극음은 74 dB SPL에서 83 dB SPL사이의 강도로 주었다. 주위 잡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최고 43 dB SPL에서 48 dB SPL 사이의 잡음거부장치를 이용하였다.
환기관삽입술을 시행함에 있어 33명의 환아중 20명은 국소마취하에 시행하였으며 나머지 13명의 환아는 전신마취하에 시행하였다. 사용된 환기관은 Paparella type Ⅱ 환기관(Xomed Treace Co, Jacksonville, FL)이었다. 수술후 TEOAE 검사는 수술전 측정과 같은 상황하에서 환기관 삽입술 2시간 후에 기록되었다. 환기관삽입술이 전신마취하에 시행될 경우, 수술후 TEOAE 검사는 환아의 상태가 명료하고 안정된 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군은 고막절개시 중이삼출액군과 비삼출액군으로 분리하였다. 두 군에서의 수술후 검사변수의 변화, 즉 echo amplitude, reproducibility, band reproducibility의 변화는 paired-t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37귀의 중이삼출액군에서 reproducibility는 수술전 평균 39(±23.5)%에서 수술후 평균 52(±18.8)%로 유의하게 상승되었으며(p=0.04), echo amplitude도 수술전 평균 5.3(±4.6) dB SPL에서 수술후 평균 8.5(±5.04) dB SPL로 역시 유의하게 상승되었다(p=0.035)(Table 1). 이들 37귀 가운데 30귀에서 고막운동성 계측도가 “B”형 이였고 나머지 7귀에서 고막운동성 계측도가 “C”형 이었다(Table 2).
비삼출액군 19귀에서 수술전 reproducibility는 평균 63 (±26.2)%였고 수술후 평균은 63(±19.3)%이었다. Echo amplitude는 수술전 평균 11.1(±5.14) dB SPL, 수술후 평균 11.2(±5.14) dB SPL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Table 1). 비삼출액군 19귀중 13귀에서 고막운동성 계측도가 “C”형 이였고 6귀에서 고막운동성 계측도가 “B”형 이었다(Table 2).
TEOAEs의 주파수 특이성은 band reproducibility에 의하여 분석되었으며, 이는 특정 주파수대의 reproducibility를 의미한다. 중이삼출액군에서 3 kHz 이하의 TEOAE 반응은 더높은 주파수대와 비교하여 수술전 band reproducibility가 이미 감소된 상태이다. 환기관삽입술 후 1 kHz에서의 band reproducibility는 평균 17(±15.10)%에서 평균 42(±22.54)%로 유의하게 회복되었으며, 2 kHz에서도 평균 20(±23.7)%에서 평균 52(±29.5)%로 유의하게 회복되었으나, 반면에 5 kHz에서는 평균 41(±27)%에서 평균 15(±18.3)%로 감소되었다(Fig. 1). 비중이삼출액군에서는 수술전후의 각 주파수 영역에서 band reproducibility의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Fig. 2).
고찰
중이압의 작은 변화 또는 소량의 중이삼출액 조차도 이도로 향하는 이음향방사의 역전이를 방해하고, 이음향방사 반응을 감소 또는 소멸시킨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4)7) 그러나, 최근 Amedee 10)의 연구에 의하면 중이 음압의 존재가 이음향방사 반응의 소멸을 항상 야기시키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된다. 오히려 Amedee는 중이 내의 삼출액의 형태가 이음향방사의 존재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요소라고 보고 있다. 본 연구에서 중이삼출액이 없는, 지속적인 “C”형 고막운동성 계측도를 가진 귀에서 TEOAE 반응은 어떤 주파수에서도 특이적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중이삼출액의 존재 하에서는 2 kHz 이하에서 특이적인 감소를 보였고, 그 이상에서는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환기관삽입술 후 특별한 주파수 영역에서 반응의 양상의 회복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Amedee의 연구에서와는 달리 TEOAEs의 반응양상과 삼출액의 형태, 양과의 연관성을 찾지는 못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삼출액의 존재시에도 TE OAEs 반응을 얻을 수 있다는 Amedee의 보고에 어느정도 일치된 견해를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환기관삽입술 후 5 kHz 영역에서 band reproducibility가 감소되는 결과를 얻었다. 이 감소는 환기관이 TEOAEs의 특성을 변화시켜 나타난 현상으로 이해된다.11) 따라서 TEOAEs에대한 중이삼출액의 효과는 기본적으로 2 kHz 이하의 저주파수 영역에서 제한되어 있다는 추측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실험적인 중이압의 변화에 의하여 유발되는 TEOAE 반응의 변화와 매우 비슷한 양상임을 알 수 있다.6)8)9)
삼출성중이염을 가진 환아에서 환기관삽입술 전후에 있어서의 TEOAEs의 측정은 Tilanus11)에 의해 이미 시행된바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와는 상반되게, 그들의 연구에서는 수술전과 비교하여 수술후 증가된 echo amplitude와 reproducibility를 얻지 못하였다. 그들의 연구에서는 TEOAEs의 측정이 환기관튜브시술 전후에 수술실 내에서 시행되었다. 저자들은 Tilanus의 연구와 본 결과간의 차이는 아마도 본 연구에서는 TEOAEs의 측정이 방음실에서 행해졌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TEOAEs 반응의 해석에 있어, band reproducibility와 echo amplitude에 대한 스펙트럼 분석이 중이삼출액의 존재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본 저자들은 TEOAEs의 측정시 2 kHz 이하 주파수 영역에서 점차적으로 호전되는 양상이 중이삼출액의 호전을 시사한다고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주관적 청력검사를 실시할 수 없는 삼출성중이염환아에서 중이 내의 상태를 평가함에 있어 고막운동성 계측도와 더불어 TEOAEs가 보조적인 역할을 갖고 있다고 제안하는 바이다.
REFERENCES 1) Lonsburry-Martin BL, Martin GK, McCoy MJ, Whited ML. Otoacoustic emissions testing in young children: Middle ear influence. Am J Otol 1994;15 suppl 1:13-20.
2) Stevens JC, Webs HD, Hutchinson J, Connell J, Smith MF, Buffin JT. Click evoked otoacoustic emissions in neonatal screening. Ear Hear 1990;11:128-33.
3) Uziel A, Piron JP. Evoked emissions from normal newborns and babies admitted to an intensive care baby unit. Acta Otolaryngol (Stockh) 1991;suppl 482:85-91.
4) Kemp DT, Ryan S, Bray P. A guide to the effective use of otoacoustic emissions. Ear Hear 1990;11:93-105.
5) Trine MB, Hisrch JE, Margolis RH. The effect of middle ear pressure on transient evoked otoacoustic emissions. Ear Hear 1993;14:401-7.
6) Hauser R. The effect of systematic change in middle ear pressure on transitorily evoked otoacoustic emissions-a pressure chamber study. Laryngo Rhino Otologie 1992;71:632-6.
7) Owens JJ, McCoy MJ, Lonsbury-Martin BL, Martin GK. Otoacoustic emissions in children with normal ears, middle ear dysfunction, and ventilating tubes. Am J Otol 1993;14:34-40.
8) Plinkert PK, Bootz F, Vossieck T. Influence of static middle ear pressure on transiently evoked otoacoustic emissions and distortion products. Eur Arch Oto Rhino Laryngol 1994;71:632-6.
9) Plinkert PK, Ptok M. Changes in transitory evoked otoacoustic emissions and acoustic distortion products in disorders of eustachian tube ventilation. HNO 1994;42:434-40.
10) Ameee RG. The effects of chronic otitis media with effusion on the measurement of transiently evoked otoacoustic emissions. Laryngoscope 1995;105:589-95.
11) Tlanus SC, van Stenis D, Snik AF. Otoacoustic emission measurements in evaluation of the immediate effect of ventilation tube insertion in children. Ann Otol Rhinol Laryngol 1995;104:297-300.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