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은 점점 중요성을 더해가는 수면 질환에 대한 책으로 1989년 초판이 발행된 후 반세기에 걸쳐 꾸준히 개정판이 발간되다가 올해 발간된 5차 개정판이다. 최근 수면 연관 임상과들 간의 통합 학회가 창립되어 서로 유기적 협조와 경쟁 하에 수면 의학이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다. 인생의 삼 분의 일을 잠으로 보내는 인류에게 수면 동안 발생하는 여러 가지 질환이나 사건은 신체 전반 및 정신적으로 심각한 폐해를 끼칠 수밖에 없다고 하겠다. 전통적으로 이비인후과에서 다뤄온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 환자도 수술만으로 해결이 안되는 경우가 많을 뿐 아니라 비만, 고혈압,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 등 내과계 문제와의 연관성이 밝혀짐에 따라 수면 연관 질환의 통합적인 관리가 절실한 시점이다. 이러한 이유들로 이비인후과 의사들도 수술에만 초점을 두던 시선에서 벗어나, 수면 의학을 공부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책의 주 저자들은 내과와 정신과 의사들로서 주로 수술을 담당하는 이비인후과 의사에게 부족하기 쉬운 수면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는다.
내용은 정상 수면, 수면의 기전, 유전학, 생리, chronobiology, 약리, 꿈과 psychobiology, 직업과 연관된 수면 질환, 불면증, 신경학적 질환, parasomnia, 심혈관질환, 정신 질환, 노인 및 여성의 수면 질환 등 수면에 관한 모든 분야가 망라되어 있으며, 이비인후과 의사들의 주된 관심사인 sleep breathing disorder에 대해서도 16 chapter에 걸친 방대한 내용이 정리되어 있다.
구판에 비해 50개의 새로운 chapter를 신설하고, 기존 chapter들도 update 시켰으며,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노인성, 직업성, 여성의 수면 질환에 대한 section을 새로이 편성하였다. 또한 최근 몇 년 사이에 새로운 사실이 많이 알려진 수면과 연관된 유전학, 분자 생물학, 신경해부학, 신경화학의 기초 연구에 대한 새로운 section을 추가하였다.
수면에 관한 여러 분야가 총 망라되어 있으므로 각 병원 단위로 수면 연관 과들 간의 study group 등에서 이용하기 좋은 문헌으로 추천하고 싶다. 이 책은 새로운 sleep stage와 respiratory event scoring rule에 대한 기술과 함께 이들에 의거해 기술한 첫 수면 교과서에 해당한다. Atlas of clinical sleep medicine에서는 수백 개의 수면다원검사 데이터의 견본이 들어있어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으며, 수면 질환을 가진 환자들과의 인터뷰 비디오가 같이 제공되고 있다.
이비인후과 의사들이 코골이 수술만 할 줄 아는 기술자가 아닌 환자의 수면 질환 전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총체적 접근이 가능한 수면 전문 의사로 거듭 나는데 이 책이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대한이비인후과학회 간행위원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