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신저자:우정수, 152-703 서울 구로구 구로동길 80번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전화:(02) 818-6752 · 전송:(02) 868-0475 · E-mail:diakonos@kornet.net
서
론
발생학적으로 갑상선은 태생 3주경에 제 1, 2 인두낭의 중앙게실에서 발생하여 두 엽으로 갈라져 경부 중앙을 따라 아래로 내려온다. 정상적인 경우 태생 8주에서 10주 사이에 갑상설관은 퇴화하여 없어지게 된다.1) 하지만 7%에서 갑상설관은 퇴화되지 않고 남아있으며2) 갑상설관이 퇴화하지 않아 발생하는 갑상설관낭종은 선천성 경부종양 중 약 70%에 이르는 가장 흔한 선천성 경부종양이다.3) 퇴화되지 않은 갑상설관은 약 50%에서 갑상선 조직을 포함하고 있으며4) 드문 경우 유일한 갑상선 조직일 수도 있다.
저자들은 28세 여성인 환자에게 갑상선 유두상암종이 의심되어 수술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갑상선외 연부조직으로의 침윤소견으로 인하여 술 후 방사선 옥소치료를 계획하고 갑상선 전절제술을 시행하던 중 우연히 발견된 갑상설관 처치의 중요성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28세 여자 환자가 4개월 전에 시행한 경부 초음파상에서 우연히 발견된 갑상선의 종물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과거력, 가족력, 및 사회력 상 특이 사항은 없었다. 진찰 소견상 전경부에서 촉진되는 종물은 없었으며 양측 경부에서 만져지는 림프절은 없었다. 다른 이학적 검사상 이상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갑상선 기능 검사에서는 T4, free T4, TSH, Antithyroglobulin antibody, Thyroglobulin antigen 등은 모두 정상 범위였다. Tc-99m pertechnate 갑상선 스캔상 좌엽의 중간부에서 냉결절이 관찰되었으며 갑상선외 부위에서의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Fig. 1). 초음파 검사와 컴퓨터 단층촬영상 갑상선 좌엽의 중간부분에서 0.8×0.8 cm 크기의 석회화를 동반한 결절 소견을 확인하였다(Fig. 2). 세침흡입검사상 갑상선 유두상 암종이 의심되는 소견을 보였다. 수술시 갑상선의 좌엽을 절제한 후 동결절편검사를 시행하여 갑상선외 연부조직으로의 침윤을 동반한 0.7 cm 크기의 갑상선 유두상 암종을 확인하였다. 갑상선외 연부조직으로의 침윤소견으로 인하여 양측의 부갑상선과 반회후두신경은 보존하면서 전경부림프절청소술 및 갑상선 전절제술을 시행하던 중 추체엽을 절제하는 과정에서 상부로 연결된 갑상설관이 발견되었다. 발견된 갑상설관을 추적하던 중 낭성 병변이 관찰되었고 설골의 일부와 함께 절제하였다(Fig. 3). 조직병리학적인 소견상에서 갑상선외 연부조직으로의 침윤을 동반한 갑상선 유두상 암종이 Level VI에서 발견된 세 곳의 림프절 전이와 함께 확인되었으며 추체엽 상부에서 절제된 조직은 갑상선 조직을 주변부에 함께 동반한 위중층원주상피를 가진 갑상설관낭종으로 확인되었다(Fig. 4). 환자는 술 후 합병증 없이 회복되었으며 2개월 뒤 150 mCi로 1회 방사선 옥소치료를 시행받고 술 후 9개월째 별다른 문제 없이 추적관찰 중이다.
고 찰
갑상설관낭종의 진단은 이학적 소견, 초음파, 전산화 단층촬영 등으로 가능하며,5) 갑상선 동위원소 검사는 특히 기능하고 있는 갑상선 조직을 밝혀내는 데 유용하다.6) 과거에는 수술 전에 갑상설관낭종이 의심되는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갑상선 동위원소 검사를 시행하여 갑상선의 정상위치 및 갑상설관낭종과의 관계를 밝히고, 드문 경우지만 검사를 통해 발견된 이소성 갑상선이 환자의 유일한 갑상선 조직일 경우를 확인하였다.7) 본 증례의 경우에는 갑상선 유두상암종에 대한 수술 전 진단방법으로 초음파와 전산화 단층촬영 및 갑상선 동위원소 검사를 시행하였으나 갑상설관낭종을 미리 발견하지 못하고 수술 중에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병리조직학적 소견으로 여러 다른 종류의 내면상피가 갑상설관낭종을 구성하고 있으며 위중층섬모원주상피와 중층편평상피가 가장 흔하며 그 외 이행상피, 입방상피 순으로 흔하며, 갑상선 조직이 갑상선관의 주변에서 발견된 경우가 50% 정도에 이른다.4) 악성 변형은 치료받지 않은 갑상설관낭종의 드문 합병증으로 갑상설관낭종의 약 1%가 갑상설관 암종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8)9) 보통 대부분이 수술 후 병리검사에서 발견되고 조직학적 형태는 유두상암종이 80%정도이며 혼합 유두여포암종과 편평세포암종의 순서로 흔하다.10)
본 증례에서 저자들은 갑상선 유두상 암종에 대한 갑상선전절제술 후 방사선 옥소 치료를 계획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갑상설관낭종을 발견하였고, 이소성 갑상선 조직의 잔존 예방과 추후 발생가능한 갑상설관낭종 기원의 악성 종양에 대한 예방을 위하여 갑상설관낭종에 대한 sistrunk 술식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갑상선전절제술과 수술 후 방사선 옥소치료를 계획하고 있다면 추체엽을 따라 있을 수 있는 갑상설관낭종의 가능성을 유념하여 동반될 수 있는 이소성 갑상선조직으로인한 술 후 방사선 옥소치료의 실패를 예방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저자들은 수술 전에 갑상설관낭종에 대한 신체검사 및 영상진단의 검토가 충분히 이루어져야겠고 수술 중에는 추체엽의 제거시에 잔여조직이 남지 않도록 모든 갑상선 조직을 절제하여 임상적으로 진단되지 않은 갑상설관낭종의 동반가능성을 반드시 배제하여야 한다고 생각하여 증례와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EFERENCES
-
Moore K. The developing human. 3rd ed. Philadelphia: Saunder;1998.
-
Ellis PD, van Nostrand AW. The applied anatomy of thyroglossal tract remnants. Laryngoscope 1977;76:765-70.
-
Thomas JR. Thyroglossal duct cyst. Ear Nose Throat J 1979;58:512-4.
-
Chandra RK, Maddalozzo J, Kovarik P. Histological characterization of the thyroglossal tract: Implication for Surgical Management. Laryngoscope 2001;111:1002-5.
-
Ward RF, Selfe RW, St Louis L, Bowling D. Computed tomography and the thyroglossal duct cyst.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86;95:93-8.
-
al-Dousary S. Current management of thyroglossal-duct remnant. J Otolaryngol 1997;26:259-65.
-
Radkowski D, Arnold J, Healy GB, Mcgill T, Treves ST, Paltiel H, et al. Thyroglossal duct remnants.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1;117:1378-81.
-
LiVolsi VA, Persin KH, Savetsky L. The thyroglossal cyst. Cancer 1974;34:1303-15.
-
Allard RH. The thyroglossal cyst. Head Neck Surg 1982;5:134-46.
-
Kennedy TL, Whitaker M, Wadih G. Thyroglossal duct carcinoma: A rational approach to management. Laryngoscope 1998:108;1154-7.
|